노블레스 오블리주 뜻
과거 로마 제국 시대 때 전쟁이 일어나면 귀족들은 스스로 무장하여 솔선수범하여 싸웠다고 한다. 그리고 자신의 재산을 사회에 환원하기도 하였다. 이것이 바로 오늘날 말하는 노블리스 오블리주의 시초라고 할 수 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도 대기업 총수나 정치인 혹은 고위 공무원 같은 높은 지위에 있는 사람일수록 도덕적 의무를 다하는 이른바 ‘노블레스 오블리주’ 정신을 실천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그렇다면 이러한 노블레스 오블리주는 언제부터 시작되었으며 어떠한 의미를 가지고 있는지 살펴보도록 하자.
프랑스어로 ‘귀족성은 의무를 갖는다’라는 의미를 가진 노블레스 오블리주는 고대 로마에서부터 이어져 내려온 전통 관습이었다. 초기 로마시대 때 귀족들은 전쟁 포로나 공공사업에 필요한 노예들을 풀어주거나 개인 재산을 기부하여 사회환원 활동을 하는 경우가 많았다.
하지만 중세 시대 이후부터는 이러한 문화가 사라지고 일부 상류층만이 이를 실천하기 시작하였다. 현대사회에서는 영국 여왕 엘리자베스 2세처럼 자신의 부를 사회에 환원하는 일이 많아지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과거 재벌기업 회장님들이 사재를 출연하여 재단을 설립하거나 장학재단을 운영하기도 하였다.
노블레스 오블리주 탄생 배경
프랑스어로 노블레스는 고귀한 신분을 뜻한다. 그리고 오블리주는 책임과 의무를 다하는 높은 도덕성을 말한다. 쉽게 말해 사회 지도층 인사라면 마땅히 갖춰야 할 덕목이라는 뜻이다. 오늘날 유럽 선진국에서는 고위 공직자나 정치인뿐 아니라 대기업 경영진에게도 요구되는 자질이기도 하다. 물론 예전에도 노블리스 오블리주가 존재했었다.
다만 지금과는 조금 달랐다. 중세 시대 귀족들은 전쟁이 일어나면 앞장서서 싸웠다. 평민 출신 기사라도 위험에 처하면 목숨을 걸고 구해주었다. 심지어 자기 재산을 털어 병사들의 사기를 북돋아주기도 했다. 이렇게 솔선수범하는 자세 덕분에 국민들로부터 존경받는 리더가 될 수 있었다. 따라서 이때까지만 해도 굳이 강조하지 않아도 자연스럽게 실천되던 덕목이었다.
그랬던 것이 근대사회로 넘어오면서 변질되기 시작했다. 산업혁명 시기 부를 축적한 신흥 자본가들이 등장하면서 권력과 명예를 독차지하려는 움직임이 나타난 것이다. 그러자 시민 계급 사이에서 반발심이 커졌다. 급기야 혁명으로까지 이어졌고 마침내 평등사상이 확산되었다. 그러면서 상류층의 부정부패 및 비리 행위를 비판하는 목소리가 높아졌다.
자연히 특권 의식을 버리고 일반인들과 동등한 위치에서 함께 살아가야 한다는 인식이 자리 잡게 되었다. 이것이 바로 노블레스 오블리주의 탄생 배경이다.
마무리
"노블레스 오블리주"라는 말을 들어본 적 있는가? 프랑스어로 고귀한 신분이라는 의미의 노블레스와 책임이 있다는 의무를 뜻하는 오블리주가 합쳐진 단어다. 쉽게 말해 높은 사회적 신분에 상응하는 도덕적 의무를 뜻한다. 우리나라에서는 보통 기업가나 고위 관료직 같은 상류층 인사나 연예인 또는 스포츠 스타같은 유명인들에게만 해당되는 특권처럼 여겨져 왔다. 하지만 현대사회에서의 노블리스 오블리주는 누구에게나 필요하다.
왜냐하면 요즘같이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경제 상황이 악화된 시기일수록 더욱 더 중요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부유한 나라들은 백신 확보량도 많고 접종률도 높아 집단 면역 형성 속도가 빠르지만 가난한 나라들은 그렇지 못해 상대적으로 훨씬 오래 걸릴 수밖에 없다. 이러한 불평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라도 모두가 조금씩 힘을 보태야 할 때라고 생각한다.
'일상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년 신년인사말 추천 모음 (0) | 2023.01.02 |
---|---|
몸짱 뜻 알아보고 몸짱 되는 방법도 알아보자 (0) | 2022.12.31 |
라떼는 말이야 의미 무슨 뜻일까? (0) | 2022.12.25 |
신조어 오피셜 뇌피셜 사전 뜻 의미 (0) | 2022.12.25 |
신조어 급식체 의미 뜻 알아봅시다 (0) | 2022.12.25 |